하였다. 첫째, 마음챙김은 인성 형성과 관련이 깊어 인성 교육을 하는데 도움 준다. 둘째, 마음챙김은 자신을 도덕적으로 바 라보게 하여 도덕적 성찰의 기회를 � 공한다. 셋째, 마음챙김은 도덕 적 자기 성찰을 통해 도덕적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도움, 마음챙김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이 누적되면서 마음챙김을 측정하는 척도들도 꾸준히 개발 되고 있다. 현재까지 개발된 마음챙김 관련 척도는 국내외 포함하여 대략 20개 정도다. 본 연구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마음챙김을 측정하는 국내외 마음챙김 척도 16개를 중심으로 다음의 과정을 , 지난 30년 동안 마음이론(theory of mind)은 인 지 발달 영역에서 주요한 연구 주제였다. 사람들의 행동 이해는 의도, 바람, 믿음과 같은 마음상태 추 론에 기반을 둔다는 것이 마음이론의 핵심적인 주 장이다., 프랑스 유학 선배님들의 학교 소개, 또 한 마음챙김이 중년의 위기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, 마음챙김 수준이 낮은 사람일수록 중년의 위기감을 더 크 게 경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(김은수, 2015). 그리고 마 음챙김이 인지적 유연성, 삶의 의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고하였다(지혜, 2022)., .